하루아침에 날씨가 변했다. 저번 주까지만 해도 온화한 가을 날씨였는데 며칠 전부터는 기온이 뚝 떨어져 바로 겨울이 오는 것만 같았다.
이렇게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늦가을로 접어드는 이 시기는 바로 독감 주사를 맞는 시기이기도 하여 오늘은 독감접종에 궁금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독감접종 시기는
대략 10월경부터 11월까지이다
10월부터 11월 사이에 독감 접종의 적기라고 할 수 있다.
독감 주사는 맞고 나서 바로 효과를 발휘하지 않고 백신효과는 약 보름 정도 후에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면 된다.
이 때문에 늦어도 11월까지 주사를 맞는다면 12월 초중순 이전에 면역력이 생기게 된다. 독감이 심해지는 겨울을 기준으로 본다면 11월 이전까지 독감주사를 맞는 것이 좋다.
이왕이면 적절한 독감주사 시즌에 주사를 맞는 것이 더욱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독감주사를 굳이 매년 맞아야 하는가?
정답은 "네" 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독감의 종류가 어마어마하게 많다는 것 때문이다. 우리가 쉽게 접하는 A형 독감의 종류만 해도 약 140여 가지 정도가 된다고 한다.
또한, WHO세계 보건 기구에서 해마다 유행할 만한 독감 인플루엔자를 예측해서 예방접종 백신을 개발하기 때문에 백신 자체가 매년 달라지기도 하며, 독감의 항체가 형성되었어도 시간이 지나면 점점 약해지기 때문에 매년 주사는 거르지 않는 것이 좋다.
독감 주사 가격
독감주사는 병원마다 가격이 상이할 수는 있다.
대부분 평균적으로 책정되어 있는 금액은 3만 5천 원에서 4만 원 정도대로 형성되어 있긴 하다. 조금 더 비싸게 받는 곳도 있으면 독감 주사 3가인지 4가인지에 따라서 금액도 상이하다.
다만 보건소에서는 3가일 경우 약 1~2만원대 4가인 경우 약 2~4만 원대 정도로 일반 병원보다는 저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감주사 코로나 백신과 함께 맞아도 되는가?
정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달 예방접종 전문위원회 심의를 진행하고 1일 백신 접종에 대한 지침을 제시했는데 기존 다른 백신과 최소 14일 간격으로 접종하던 코로나 백신을 접종 간격에 관계없이 접종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었다.
코로나 백신 접종 시행 초기에는 코로나 백신과 타 백신 접종 간격에 대한 자료가 제한적이어서 최소 14일 정도의 접종간격을 유지했지만 안전성 자료가 축적됨에 따라 코로나 백신과 타 백신과 간격을 제한할 과학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코로나 백신과 독감 백신을 함께 접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동시 접종시 국소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서 각각 다른 부위에 접종을 받아야 하고 면역반응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의해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독감예방을 위해 손세정제로 손을 깨끗하게 닦읍시당~
https://bit.ly/3wtrXW1
독감...열이 나나요??
https://bit.ly/2YeGzeX
'Lanikai Life > 건강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음식 (0) | 2021.10.24 |
---|---|
걷기 운동 다이어트 나도 해볼까? (0) | 2021.10.23 |
두뇌에 도움이 되는 음식 (0) | 2021.09.30 |
올바르게 수분 섭취하는 방법 (0) | 2021.09.30 |
불면증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 (0) | 2021.09.30 |